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map
- Stream
- filternotnull
- JPQL
- Spring Boot
- 8080error
- foreachindexed
- JPA
- 스프링
- JWT
- kotlin
- 스프링 부트
- 토큰기반인증
- 자바
- Spring
- 객체지향
- sumof
- 웹서버오류
- 토큰
- 코틀린
- 티스토리챌린지
- devpi
- javamailsender
- 오블완
- java
- portconflict
- Token
- 서버실행실패
- entity
- api인증
Archives
- Today
- Total
DeveloPiano
[Python] 거스름돈 _ 코딩 테스트 (Greedy) 본문
반응형
문제 설명
카운터에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500원, 100원, 50원, 10원짜리 동전이 있고 이 동전의 수는 무한히 존재한다.
손님에게 거슬러 줘야 할 돈이 N원일 때 거슬러 줘야 할 동전의 최소 개수를 구하라. 단, 거슬러 주어야 할 돈 N은 항상 10의 배수이다.
문제 해설
이 문제는 그리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풀 수 있는 대표적인 문제이다.
거슬러 주어야 할 동전의 최소 개수 이므로 가장 큰 단위의 거스름 돈 먼저 적용하여 작은 단위의 거스름돈으로 순차적으로 내려가면서 카운트를 세는 단순한 과정의 풀이방법을 적용하면 풀 수 있다.
문제 풀이
# 거스름돈 입력 받기
n = int(input("거스름돈 : "))
# 받는 횟수 변수 선언
count = 0
# 거스름돈 타입 설정
coin_type = [500, 100, 50, 10]
# 가장 큰 화폐 단위 먼저 나누기 시작 및 count 증가
for coin in coin_type:
# 몫 만큼 count 증가
count += n // coin
# 나머지를 거스름돈으로 재 설정
n %= coin
print(count)
문제 후기
그리디 알고리즘을 떠올려야만 풀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. 애초에 그리디 알고리즘이 단순히 '가장 큰것부터' 혹은 '가장 작은것부터' 를 적용하는 개념이다 보니 풀이 방법을 쉽게 유추해 볼 수 있는 문제였던거 같다.
출처 :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(나동빈 지음)
반응형
'Develop > Coding Te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큰 수의 법칙 (Greedy) (1) | 2024.06.02 |
---|